[Stop 기후위기]한살림 기후밥상운동




 


한살림에서는 기후위기 대응 실천으로 '기후밥상 운동'을 하고 있어요.


기후밥상운동이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밥상에서부터 기후대화를 시작해보자는 것!


밥상은 가까운 이들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 생활실천을 시작할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이죠.







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해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그 일을 내 삶과 일상에 연결시켜 실천하는 사람은 많지 않아요.




가장 큰 위험은
위기에 대한 반응이
무뎌지는 것
 입니다.

조안나 메이시

조안나 메이시의 말처럼 우리가 기후위기를 위기로 생각하지 않고 있는것, 당장 행동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위기입니다.


뉴스에 나오거나 책에 나오는 이야기로서가 아니라 일상에서 기후위에 대한 이야기를 더 많이 나눠야 합니다.





한살림에서는 지금 기후밥상 챌린지가 진행중인데요.


기후밥상챌린지란?

기후문제를 밥상의 대화주제로 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그 주제를 사진/문구로 인증하는 챌린지에요.




✔️밥상에서 나누고픈 기후문제를 적어 챌린지사이트(빠띠캠페인즈)에 접속하여 인증샷 또는 문구 올리기

✔️인증샷 또는 문구를 올리면 1건당 500원 적립

✔️기부금은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을 통해 먹거리 돌봄이 필요한 어린이에게 건강한 식재료와 식생활 교육비로 후원 (** 후원금은 한살림이 전액 부담)

✔️매월 추첨을 통해 15분께 선물(쓰레기제로 설거지세트)를 드려요


(위 링크에 서명하면 500원이 자동 적립됩니다. 기후위기에 취약한 어린이들에게 전달돼요)



'기후대화'를 시작하고 싶지만,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하다고요?


손쉬운 방법을 아래 공유합니다.


✅ 긍정적인 태도로 생각해보세요: 기후위기가 절망적으로 예측되지만, 우리에게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나갈 시간이 있어요. 기후위기의 피해자나 가해자가 아니라, 시민이자 주체자로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‘우리의 역할’에 더 집중해보세요. 훈계보다 공감을, 죄책감보다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지 이야기 나눠보세요. (대표적으로 투표, 서명, 기업에 촉구하기, 다양한 실천운동에 참여하기 등)


✅ 눈에 보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: 대화를 시작하기 어렵다면, 밥상 주변으로 보이는 것들로 시작해보세요. 예를들어 못난이 식재료 구매가 어떻게 음식물쓰레기와 온실가스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지, 어디서 못난이 식재료를 구매할 수 있는지 이야기해보세요. 기후위기로 점차 비싸진 식재료, 제철이 빨라진 과일, 다회용기에 포장해 온 음식 등 밥상 위의 모든 것들이 대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어요


✅ 공통의 관심사를 찾아보세요: 상대방과 공감할 수 있는 관심사를 찾아보세요. 누군가의 부모라면? 같은 동네에 살고 있다면? 비슷한 걱정을 하고 있다면? 과 같이 우리가 가진 다양한 관심사는 기후위기와 연결될 수 있어요.


✅ 데이터나 과학적 사실 대신 마음으로 시작해보세요: 기후대화를 시작하기 위해서 모든 과학적인 사실을 알 필요는 없어요. 개인적인 경험, 관점으로 이야기를 시작해보세요(예: 내가 어떻게 기후위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, 왜 그 문제가 나에게 중요한지 등)


'일상생활에서 기후변화에 대해 침묵하면

그것이 현실적이고 임박한 위협이라는

인식이 줄어들고

이는 다시 우리의 표심과 구매 선택과

행동 양식에 이르기까지

골고루 영향을 미친다.’

-책<기후변화, 이제는 감정적으로 이야기할 때/리베카 헌틀리>

 



기후침묵이 우리를 파멸로 이끕니다.

일상생활에서, 밥상에서 더 많이~~~

기후위기 대화 나눠요~ !




Reactions

댓글 쓰기

0 댓글